본문 바로가기
의료 · 건강

삼성서울병원 함돈일·임동희·윤제문 교수팀, "나이 관련 황반변성, '골절 위험' 높여"

by 슈퍼맨 아빠 2023. 10. 11.
반응형

국제학술지 '아이(Eye, IF=4.456)' 최근호에 발표

- 황반변성이 골절 위험 9% 높여

- 시력장애까지 중복될 경우 골절 위험 17%까지 상승

 

삼성서울병원 함돈일·임동희·윤제문 교수팀, "나이 관련 황반변성, '골절 위험' 높여"(사진제공= 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 함돈일·임동희·윤제문 교수팀, "나이 관련 황반변성, '골절 위험' 높여"(사진제공= 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원장 박승우) 안과 함돈일·임동희·윤제문 교수,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 연구팀이 "황반변성이 생길 경우 골절 위험이 높아진다"고 최근 연구결과를 밝혔다.

나이 관련 황반변성은 노화 과정에서 망막 황반부에 변성이 생기면서 시력이 감소하는 질환을 말한다. 노인 실명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일반적으로 50세 이상부터 발병되는데, 초점이 맞지 않는 노안과 달리 안경을 착용한 후에도 중심 시력이 떨어지거나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는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난다.

연구팀은 지난 2009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을 받은 50세 이상 수검자 389만 4702명을 코호트 연구에 포함해 2019년까지 추적, 관찰했다. 최초 검진 당시 황반변성을 진단받은 사람은 모두 4만 7266명(1.21%)으로, 연구팀은 황반변성이 골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했다.

그 결과, 황반변성 그룹의 경우 1000인년 당 20.6건의 골절이 발생했다. 반면 대조군에서는 12.6건으로 차이를 보였다. 골절 발생의 상대위험 역시 황반변성 그룹이 9% 높았다. 나이와 성별을 비롯해 골절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들을 모두 보정해 나온 결과다. 골절 유형별로 살펴봐도 마찬가지였다. 노년기 삶을 위협하는 치명적 부상인 고관절 골절, 척추 골절 등 종류를 가리지 않고 모두 황반변성 그룹이 발생 건수가 더 많았고, 상대 위험 역시 높았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황반변성으로 시각장애가 겹쳤을 때 더욱 커졌다. 대조군과 비교해 황반변성이 있더라도 시각장애가 없는 경우 골절 위험이 8% 증가했지만, 시각장애가 동반한 경우엔 17%로 크게 높아졌다.

연구팀은 이같은 연구 결과를 황반변성으로 인한 시력저하와 같은 장애가 골절의 직접적 원인이 될 뿐 아니라 이로 인한 운동 부족 등으로 균형감을 상실해 넘어지기 쉬운 탓으로 분석했다. 황반변성이 비타민D 부족과도 관련있는 만큼, 비타민D 부족이 골다공증 발병으로 이어져 골절에 더욱 취약해진 원인도 있다.

삼성서울병원 윤제문 교수는 "황반변성이 의심되면 골절 위험에 대한 예방도 함께 시작해야 한다. 노년기에는 한 번 넘어져 뼈가 부러지면 회복이 더디고, 장애도 생길 수 있는 만큼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응형